|
 |
|
 |
|
 |
비만이란 주로 체내의 피하에 지방이 많이 쌓여 있는 상태를 말하는데 일반적으로 에너지 섭취량이 소비량을 초과하여 남은 열량이 지방으로 과다하게 축적되는 것을 말합니다.
그러나 비만은 단순히 몸무게가 많이 나가는 것과는 다릅니다. 비만문제의 포인트는 체지방 관리입니다.
|
|
 |
비만의 판단기준 |
|
표준 체중법
표준체중 = (신장-100)×0.9
비만도= (실측체중-표준체중) / 표준체중 × 100 %
- 실제 체중이 표준체중에 비해서 10% 이상은 과체중,
- 20% 이상은 비만
체질량지수법(BMI)
체질량지수법(BMI) = 체중(kg) /신장(m2) - 22인
경우는 최적의 표준
- 20∼24는 정상
- 20 이하면 왜소형
- 24∼26.5이면 과체중
- 26.5 이상이면 비만으로 판정하고 있습니다.
허리와
엉덩이 둘레비(WHR)
여자는 0.90 이상, 남자 1.00 이상 → 복부비만
여자 0.75 이하, 남자 0.85 이하 → 하체비만
복부비만은 질환의 위험율과 사망율이 하체 비만자보다 훨씬 높기 때문에 성인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복부비만이 되지 않도록 해야합니다.
피부의
두께측정법
삼두박근, 이두박근, 견갑골하부, 복부, 대퇴부(허벅지) 등의 피부 두께를 측정하여 축적된
지방량을 계산합니다.
|
|
|
 |
|
 |
|
|